<부사 + 과거분사> collocation
영어 글이나 뉴스를 접하다 보면 부사와 과거분사가 하나의 형용사구를 이루어 명사를 수식하는 경우를 많이 접하게 된다.
과거분사가 명사를 수식하는 경우에 대해 토익 교재나 중고등학교 영어 교재에서는 흔히들 <선행사 which is/are 분사> 구조에서 which is/are가 생략된 것으로 설명한다. 이때 많은 경우 분사 뒤에 전치사구나 목적어가 딸려 있어 명사(선행사) 뒤에서 수식하는 구조가 된다.
cf. A house (which was) builit in 1954
오늘 살펴보는 형태는 명사 앞에서 분사가 형용사 역할을 하는데 부사가 의미를 부연해 주는 것으로 흔하게 사용되며 이런 표현들을 두루 익혀두면 말하기, 쓰기 등의 fluency를 높이는데 큰 도움이 된다. 이때 부사 + 과거분사는 자유롭게 결합하는게 아니라 동사에 따라 서로 잘 맞는 부사 짝꿍이 있어 "웬만하면" 늘 같이 쓰인다. 즉 collocation으로 이해하면 된다.
일상어에서부터 학술적 목적의 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영역에서 사용된다. 물론 형용사구이기 때문에 명사를 수식하지 않고 보어로도 사용이 많이 된다.
부사별로 몇가지 생각나는대로 적어보자면
thinly sliced chicken breast 얇게 썬/저민 닭가슴살
thinly veiled/disguised threat 속이 다 들여다보이는 협박/위협
widely used methods 널리 사용/통용되는 방법들
widely known facts 널리 알려진 사실들
widely held belief/assumption 널리 공유되는 믿음/가정
widely accepted 널리 인정되는, 통용되는
widely recognized
* widely를 commonly 대체해도 무방
deeply rooted prejudices 뿌리 깊은 편결들
deeply held beliefs/convinctions 확고한 믿음/확신
newly elected president 새로 선출된 대통령
newly-wed couple 신혼부부
closely knit (직물 등이) 촘촘히 직조된, (비유적으로 사회나 조직이) 결속된, 굳건히 단결된, (이론 등이) 탄탄한
closely knit community
closely knit argument
intricately woven/intertwined 복잡하게 얽힌, 촘촘하게 짜여진
intricately connected/linked/related 긴밀하고 세밀하게 연관된/관련된/연결된
intimately connected/linked/related/associated
이글을 읽는 분들도 생각나는 <부사 + 과거분사>이 있으면 댓글에 달아보자^^